정보창고

미국금ETF 소개와 특징, 향후전망 소개

돈지식샘 2025. 7. 23. 13:44
반응형

미국금ETF 소개와 특징, 향후전망 소개

 

 

1. SPDR Gold Shares (티커: GLD)

  • 개요: 세계 최대 금 ETF로, 실제 금 실물을 보유합니다. 자산 규모 약 1000억 달러로 유동성과 거래량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 
  • 수수료: 0.40%로 비교적 높은 편 
  • 최근 흐름: 2025년 상반기에 금 가격이 약 +25% 상승했고, GLD 역시 동일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 
  • 향후 전망: 달러 약세, 지정학 리스크, 중앙은행의 금 수요 증가 등의 요인이 지속된다면 금 가격은 중장기 상승 여력 있음. 다만 단기적으로는 일부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해 조정 가능성 있음 

미국금ETF

 


2. iShares Gold Trust (IAU)

  • 개요: GLD와 유사하게 물리적 금을 보유하지만, 수수료는 0.25%로 저렴한 편 
  • 규모: 운용자산 약 460억 달러로 업계 2위 
  • 최근 흐름: YTD 기준 +25.5% 성과를 기록하며 GLD와 비슷한 흐름 보임  
  • 향후 전망: GLD와 동일하게 금 가격 상승 흐름의 수혜를 기대할 수 있으며, 장기 투자자에게 비용 효율적인 선택지입니다.

3. SPDR Gold MiniShares (티커: GLDM)

  • 개요: GLD와 동일한 물리 금을 추적하며, 소형 단위(저가격)에 초점을 둔 ETF 
  • 수수료: 0.10%, 매우 저렴한 구조 
  • 규모: 약 160억 달러 운용 중 
  • 최근 흐름: 작년 대비 +38.6% 이상 상승, 금 ETF 중 가장 높은 퍼포먼스를 보임 
  • 향후 전망: 저비용 소형 ETF로, 금 가격 상승에 비례하는 수익이 실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.

4. VanEck Gold Miners ETF (티커: GDX)

  • 개요: 물리 금이 아닌 금 채굴 주식에 투자하는 ETF로, 금 가격과 레버리지 관계를 가집니다  
  • 규모: 약 155억 달러 
  • 최근 흐름: 금 가격 상승에 힘입어 +38.9% 상승 
  • 향후 전망: 금 가격 안정 시 채굴주식의 레버리지 효과로 높은 수익 기대 가능하지만, 원자재 섹터 특성상 변동성도 큽니다.

5. VanEck Junior Gold Miners ETF (티커: GDXJ)

  • 개요: 소형 금 채굴 기업에 집중 투자하며, 리스크와 리턴이 높은 ETF  
  • 규모: 약 53억 달러 
  • 성과: YTD +45.7% 급등, 최근 달러 약세 국면에서 특히 강함 
  • 향후 전망: 금 가격 추가 상승 시 수익률 급등 가능, 다만 금 가격 하락 구간에서는 손실도 클 수 있어 분산 필요.

6. iShares MSCI Global Gold Miners ETF (티커: RING)

  • 개요: 글로벌 금 채굴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ETF  
  • 수수료: 약 0.39% 
  • 성과: YTD 약 +45.5%로 GDXJ와 유사한 흐름 
  • 향후 전망: 금 가격 및 글로벌 금광산 상황에 따라 채굴주 채권 효과 기대 가능.

7. GraniteShares Gold Trust (티커: BAR)

  • 개요: 영국 런던 금고에 금 실물을 보유한 저비용 금 ETF 
  • 수수료: 0.175%, 주요 금 ETF 중 가장 저렴  
  • 성과: YTD 약 +25.5%, IAU·GLD와 유사함  
  • 향후 전망: 초저비용 전략으로 장기 보유에 유리하며, 금 가격 상승 시 안정적인 수익 기대.

📊 최근 금 시장 요약

  • 2025년 상반기 금 가격: OZ당 $3,000 돌파, +25~30% 급등, 주요 ETF 수익률 동반 상승  
  • ETF 자금 흐름: 1~5월 동안 금 ETF로 약 300억 달러 유입, 5월에는 소폭 조정 
  • 금 관련 ETF 수익률 비교: GLD·IAU 

🔍 향후 전망

1. 거시 경제·정치적 리스크 지속

  • 중앙은행의 금 보유 확대, 달러 약세, 무역 긴장, 인플레이션 우려 등은 금 수요를 견인 

2. 연준 정책과 금리 방향

  • 금 ETF 흐름은 Fed의 금리 인하 기대와 밀접하게 연동되며, 최근 금리 인하 전망 축소로 단기 조정 가능성 있음 

3. 투자자 포트폴리오 편입 확대

  • 일반 투자자와 기관의 금 ETF 유입 확대 (2025년 H1 약 380억달러 유입)  

4. 장기 구조적 수요 유지

  • 디달러화, 채무 부담 증가 등으로 금은 안전자산으로서 중요성 유지될 전망  

✅ 요약 테이블

ETF자산(AUM)수수료주요 특징2025 상반기 수익률
GLD 약 1,000억달러 0.40% 최대 금 ETF, 높은 유동성 +25%
IAU 약 460억달러 0.25% 저비용소유권형 +25.5%
GLDM 약 160억달러 0.10% 소형 단위 저비용 +38.6%
GDX 약 155억달러 채굴주 ETF 금 채굴주에 투자 +38.9%
GDXJ 약 53억달러 채굴주 ETF 소형 채굴주 고위험·고수익 +45.7%
RING 0.39% 글로벌 채굴주 ETF +45.5%
BAR 0.175% 초저비용 물리 금 투자 +25.5%
 

🎯 전략 제언

  • 물리 금 ETF: GLD/IAU는 안정적이고 추적이 잘 되며, GLDM은 초저비용+높은 수익률.
  • 채굴 ETF: 금 가격 상승 시 레버리지 효과로 수익 극대화, 단, 리스크·변동성 높음.
  • 저비용 전략: BAR·IAU 등 낮은 비용 ETF는 장기 보유에 유리.

📝 결론

금은 2025년 상반기 압도적인 자산 성과를 보이며 안전자산 수요가 급등했습니다. GLD·IAU 같은 물리 금 ETF는 금 가격 상승을 안정적으로 반영하며, GLDM은 비용 구조상 수익률 측면에서 가장 우수합니다. 금 채굴 ETF(GDX, GDXJ, RING)는 금 가격 상승 및 채굴주 강세 시 고수익이 가능한 반면 변동성도 높아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합니다.
향후 달러 추이, 연준 정책, 지정학 리스크가 금 시장을 관통할 주요 키워드인 만큼, 분산투자 관점에서 물리 금 ETF와 채굴 ETF를 적절히 조합하는 전략을 추천드립니다.

더 깊이 있는 종목 분석이나 포트폴리오 설계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도와드리겠습니다!

반응형